[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의 대표 돌봄 사업인 ‘누구나 돌봄’이 시행 20개월 만에 누적 이용자 2만5천 명을 넘어섰다. 도는 방문의료서비스와 전용 플랫폼을 정식 도입해 정책을 강화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2024년 1월 위기 상황에 놓인 도민에게 가사, 주거 안전, 식사 지원 등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누구나 돌봄’을 시작했다. 사업은 첫해 15개 시군에서 올해 29개 시군으로 확대됐다. 올해 8월 말 기준 누적 이용자는 2만5546명이다. 이 중 올해 1~8월 이용자는 1만551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413명보다 187% 늘었다. 서비스 제공기관은 464곳으로 늘어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됐다. ‘누구나 돌봄’은 생활·동행·주거안전·식사지원·일시보호서비스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재활돌봄·심리상담은 시군 선택형으로 운영한다. 재난 등 위기 상황에서는 주거·생활·심리 지원을 무상으로 제공하며, 신청 절차도 간소화했다. 도는 지난 8월부터 12개 시군에서 방문의료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수원, 화성, 남양주, 시흥 등 40개 의료기관이 참여해 거동이 불편한 도민을 직접 찾아가 진료한다. 현재 12개 시군에서 내년 16개 시군으로 확대할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이 남한산성 위령비 건립을 추진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출범했다. 도의회 국민의힘(대표의원 백현종)은 18일 광주 남한산성역사문화관에서 출범식을 열고 위원장에 유영두(광주1) 의원을 임명했다. 행사에는 백 대표의원과 유 위원장을 비롯해 이한국 수석정책위원장, 윤재영 제1정책위원장, 오세풍 제6정책위원장 등 소속 의원들이 참석했다. 특별위원회는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결사항전한 관민 용사들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위령비 건립을 추진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남한산성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패배의 기억’으로 인식돼온 남한산성을 ‘호국의 역사’로 재조명한다는 계획이다. 백현종 대표의원은 “유영두 위원장은 남한산성 전문가로 평가받는 만큼 사업 추진에 적임자”라며 “정책 지원과 예산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유영두 위원장은 “아픔을 넘어 호국의 역사로 남한산성을 기억해야 할 때”라며 “현장 중심 의사결정을 원칙으로 위령비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한국 수석정책위원장은 “국제 전쟁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 남한산성에 위령비 건립은 시급한 과제”라며 “특위를 통해 호국의 역사를 복원하겠다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농업인과 시민이 함께하는 ‘제34회 수원시 그린농업축제’가 20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탑동시민농장에서 열린다. 수원시가 주최하고 농촌지도자수원시연합회가 주관하는 이번 축제는 화합마당, 참여마당, 나눔마당, 부대행사로 구성된다. 화합마당에서는 농악단 길놀이, 수원시립공연단 공연, 농업발전 유공자 표창, 탄소중립 실천 결의대회, 버블쇼, 레크리에이션 등이 진행된다. 참여마당은 전시관과 체험관으로 나뉘어 어반스케치, 반려식물 병원, 도시농업관, 농생명공학관, 친환경 농자재, 소형농기계관 등을 전시하고, 가을채소 심기, 전통규방공예, 자연염색, 압화 그립톡, 다육식물 심기, 꽃장식, 벼 탈곡, 떡메치기, 전통문화 체험을 운영한다. 나눔마당에서는 로컬푸드와 새참 먹거리를 판매하며, 부대행사로 수원쌀 홍보, 농어민 기회소득 안내, 반려동물 입양카페, ‘푸른지대 장날’ 도시농업 연계행사가 마련된다. 시 관계자는 “그린농업축제는 도심 속에서 농업의 가치를 되새기고 친환경 농업의 중요성을 시민과 공유하는 행사”라며 “가족과 함께 방문해 농업과 농촌의 즐거움을 느끼길 바란다”고 말했다.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미래 100년을 준비하기 위한 전략적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투자유치와 민생경제, 안전, 돌봄 기능을 강화해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7일 열린 광명시의회 본회의에서 ▲투자유치과 신설 ▲AI스마트도시과 개편 ▲일자리경제과 신설 ▲안전건설교통국 직제 조정 ▲통합돌봄팀 및 돌봄의료지원팀 신설 등을 담은 조직개편안을 의결했다. 신설된 투자유치과는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등 개발 거점을 중심으로 민간 기업 유치와 투자 기반 확보를 전담한다. AI스마트도시과는 스마트시티와 데이터 행정을 강화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일자리경제과는 일자리·소상공인·전통시장 지원을 통합해 민생경제 정책 실행력을 높인다. 또 안전건설교통국 직제 순위를 기획조정실 다음으로 상향해 안전 기능을 대폭 강화했으며, 통합돌봄팀과 돌봄의료지원팀을 신설해 ‘돌봄도시 광명’을 구현한다. 이외에도 정원운영팀 신설, 복지조사팀 업무 조정 등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편도 이뤄졌다. 시는 관련 자치법규 개정을 거쳐 10월 중 조직개편 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조직 규모는 1실 6국 253개 팀에서 256팀으로 확대되며 정원은 1276명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