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가 내년도 예산안에서 노인·장애인·아동 등 필수복지 예산이 일부 누락된 사실을 공식 인정하며 신속한 복원에 나서겠다고 21일 밝혔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복지 연속성과 안정성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며 “의회와 협력해 필수예산을 반드시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고 부지사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취약계층 삶과 직결된 예산이 완전하게 반영되지 못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도민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노인상담센터 지원비, 노인복지관 운영비 등 주요 항목이 미반영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는 복지 현장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도의회와의 예산 협의 ▲복지단체와의 긴급 간담회 ▲부족 예산의 추경 반영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고 부지사는 지난 18일 도내 22개 사회복지단체로 구성된 ‘경기도사회복지연대’ 대표단과 간담회를 열고 “삭감된 예산은 최대한 복구하겠다”고 약속했다.
장애인 정책 역시 후퇴가 없도록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복지의 연속성과 현장 운영이 흔들리지 않도록 점검하겠다”며 “오늘도 장애인복지단체와 면담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예산 조정 배경에 대해 경기도는 정부의 세수 감소와 국비 매칭 부담 확대를 들었다.
고 부지사는 “윤석열 정부의 경제 악화로 재정 여건이 크게 나빠졌다”며 “국비 매칭이 3049억 원 늘어나 도 자체 예산 조정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다.
영유아보육료·부모급여·아동수당 등 필수사업에 필요한 경기도 부담이 대폭 증가했다는 것이다.
다만 “복지 후퇴는 결코 없다”며 “일몰 사업 정리 과정에서 현장 협의가 부족했던 점은 인정하지만, 절차를 보완해 예산을 다시 세우겠다”고 밝혔다.
고 부지사는 “지금은 경기도의회와 집행부가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할 시점”이라며 “도민 누구나 안전하고 기본이 튼튼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복지 기반을 빈틈없이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