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고양특례시는 경기 둔화와 세입 감소 속에서도 민생 안정과 미래 투자에 중점을 둔 2026년도 예산안 3조4218억 원을 편성해 21일 시의회에 제출했다. 올해보다 813억 원, 2.43% 증가한 규모다.
일반회계는 2조8738억 원, 특별회계는 5480억 원으로 구성됐다. 조정교부금이 271억 원 줄고 국도비 매칭 부담이 678억 원 늘어 실질적 재정 여건은 악화됐지만, 시는 지방세와 고양콘 사용료(75억 원)를 포함한 자체 수입 확대와 경상경비·보조사업 정비 등을 통한 고강도 구조조정으로 재원을 확보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재정 상황이 어렵지만 민생 안정과 지역 성장동력 확보를 최우선으로 예산안을 편성했다며 시민 관심과 시의회의 협조를 요청했다.
시는 마이스 산업 육성을 위해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에 450억 원을 반영하고, IP융복합 콘텐츠 클러스터 조성에 48억 원을 투입해 콘텐츠 산업 기반을 확충한다.
창업·중소기업 지원, 드론산업 박람회 등 자족도시 기반을 넓히기 위한 산업다각화 예산도 편성했다.
복지 분야에서는 기초연금 4551억 원, 부모급여 732억 원, 아동수당 663억 원 등 주요 보편 복지사업을 포함해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과 난임부부 지원, 장애인복지센터 건립 등 돌봄·의료 안전망도 강화한다.
강매·대화·장월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스마트시티 사업 등을 통해 재난 대응력을 높이고, 대장~홍대 광역철도, 도로 확장·정비, 주차전용 건물 건립 등 교통 인프라 확충에도 예산을 배분했다.
체육시설 확장과 전국체전 대비 리모델링, 교육발전특구 사업, 고양형 교육지원 사업, 학교 환경개선 등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도 포함됐다.
북한산성 세계유산 등재 추진, 도시기본계획 수립, 원도심 지구단위계획 용역 등 도시 비전 수립 사업도 반영됐다.
환경 분야에서는 전기차 구매 지원 273억 원, 장기 미집행공원 토지매입, 일산호수공원 경관 조명 개선 등 탄소중립·녹색 인프라 구축 예산이 편성됐다.
2026년도 예산안은 고양시의회 제2차 정례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중순 최종 확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