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올해 전 시민에게 지급한 ‘민생안정지원금’이 지역경제를 되살리는 실질적 효과를 입증했다. 시는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민생안정지원금 효과분석 결과 브리핑’을 열고, 지원금이 2천44억 원의 경제효과와 501명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광명시는 지난 1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전 시민에게 1인당 10만 원씩을 광명사랑화폐로 지급했다. 전체 시민의 93.4%가 신청해 260억 원이 지급됐으며, 지급액의 98.9%가 지역 내에서 소비됐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의 분석에 따르면 지원금 257억 원이 지역 내 생산·소득·세수 증가로 확산되며 2044억 원의 경제 파급효과를 냈다. 그중 경기도 내 경제효과는 694억 원, 도소매·서비스·운송 등 32개 산업 분야에서 생산유발액 573억 원이 발생했다.
홍명희 광명시 경제문화국장은 “민생안정지원금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광명형 민생정책’의 대표 사례”라며 “지역 상권의 체질 개선과 경제 자립 기반 강화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시민 체감 높은 ‘10만 원의 힘’
정책 시행 첫날 신청자는 7만9천여 명으로 참여율 28.6%를 기록했고, 최종적으로 93.4%가 지원금을 수령했다.
시민들은 SNS 후기 게시판에 “가족 외식을 했다”, “필요한 생필품을 구입했다” 등 실질적인 도움을 전하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조사 결과 시민의 84.6%가 정책에 만족했고, 83.6%는 가계경제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도에 대해서는 85%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광명사랑화폐’ 지역경제 순환의 중심으로
민생안정지원금은 광명사랑화폐를 통해 지급되며 지역 내 소비 선순환을 강화했다.
시민의 64.6%가 “지원금 이후 광명사랑화폐 사용이 늘었다”고 응답했으며, 광명사랑화폐 발행액은 2019년 78억 원에서 2025년 10월 2457억 원으로 31.5배 증가했다.
광명시는 인센티브율을 15%로 상향하고 월 사용액의 5%를 환급하는 캐시백 제도를 시행해 소비 기반을 강화했다. 소상공인 78.8%도 정책에 만족하며 “매출이 늘고 납품량이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지속가능한 지역경제’로 확장
광명시는 내년부터 지역화폐 인센티브율을 연중 10% 이상 유지하고, 2026년에는 지류형 상품권 도입으로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가맹점을 8천200개 이상으로 확대해 소비 기반을 더욱 넓힌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의 미래는 시민이 중심이 되는 지속가능한 경제도시”라며 “소상공인과 시민이 함께 성장하는 민생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