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시(시장 박승원)는 20일 오전 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주간정책회의에서 ‘광명시 민생안정지원금 지급 효과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을 논의했다.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김수연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이번 연구에 따르면, 올해 1월 시민 1인당 10만 원씩 지급된 광명시 민생안정지원금은 지역 내 소비를 크게 촉진하며 지역경제에 2천억 원대 생산 유발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도소매·음식숙박업 등 생활 밀착 업종의 매출이 평균 20% 상승했고, 소상공인의 절반 이상이 매출 증가를 체감했다.
특히 지원금 사용의 절반 이상이 광명사랑화폐로 결제돼 경기도 평균의 두 배 수준을 기록했다.
서울대 연구진은 “광명사랑화폐의 높은 활용률은 지역 내 소비 순환을 강화한 핵심 요인”이라며 “지류형 화폐 도입 시 고령층의 참여율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민 만족도는 84%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응답자의 대부분이 가계경제와 지역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고령층은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오프라인 지류형 화폐 확대를 요청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민생안정지원금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지역경제 자생력을 키우는 투자”라며 “가맹점 확대, 지류형 화폐 발행, 상설기금 신설을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순환경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광명시는 내년 중 지류형 지역화폐 발행을 위한 조례 개정을 추진 중이며, 가맹점 감소 원인으로 지목된 재개발·폐업 등 구조적 요인에 대한 분석도 병행하고 있다.
또한 소상공인 상설기금과 재난기금 활용을 통한 추가 지원 재원 확보 방안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은 “민생과 안전은 지방정부의 두 축”이라며 “지역경제가 살아나고 시민이 체감하는 포용경제 도시, 광명형 경제 모델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