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수원시가 지난 7월 21일부터 8월 4일까지 시민 5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수원시민 인권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절반가량이 나이·직업·학력·성별 등 생활과 밀접한 영역에서 인권침해 또는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을 경험한 이유로는 ‘나이’가 53.7%로 가장 많았고, 이어 ‘직업·소득’ 46.9%, ‘비정규직’ 46.5%, ‘학력·학벌’ 45.5%, ‘성별’ 40.9% 순이었다.
인권침해 대응 방식은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가 40.5%로 가장 많았으며, ‘주변에 도움 요청’ 33.5%, ‘가해자에게 직접 시정 요구’ 20.5%였다.
수원시 인권 정책에 대해서는 ‘시민 인권 증진에 기여’ 40.6%, ‘인권친화적 도시’ 45.3%, ‘시민 참여 기회 제공’ 40.9% 등 긍정 평가가 우세했다.
인권센터 인지율은 38%였으나, 응답자의 68%는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했고, 84.3%는 침해 상황 시 인권센터를 이용하겠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원시는 대시민 인권실태조사를 추진하고, 시민 인권 인식 조사를 3년 주기로 정례화할 계획이다.
또한 SNS 등으로 정책 홍보를 강화하고, 인권정책 성과를 공개해 신뢰도를 높일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시민 대다수가 인권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일상적 차별 대응 체계를 강화해 차별 없는 도시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