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콜드플레이가 오고 CES도 가능한 도시, 그러나 호텔은 없다. 고양특례시가 숙박 인프라 확충을 위해 추진한 S2부지 매각안이 시의회에서 다섯 번째로 부결됐다. 시는 “정쟁으로 도시 경쟁력이 멈춰섰다”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추진해 온 대화동 2600-7번지(S2부지) 매각안이 또다시 시의회 본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지난 27일 열린 제298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안건이 부결되며, 숙박 인프라 확충과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 재원 확보는 다시 불투명해졌다. 이번이 다섯 번째 부결이다.
S2부지는 2005년 킨텍스 조성 당시부터 숙박시설 건립을 위해 마련된 핵심 부지로, 시는 매각을 통해 호텔을 유치하고 매각 대금을 제3전시장 건립 분담금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의회의 잇단 부결로 사업은 1년 6개월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현재 킨텍스 일대 숙박시설은 1248실(소노캄·케이트리호텔 등)에 불과하며, 내년 착공 예정인 앵커호텔 300실을 포함해도 1548실 수준이다.
반면 킨텍스 방문객은 연 580만 명을 넘었고, 제3전시장이 완공되면 1000만 명 이상이 찾을 것으로 예상돼 숙박난이 심화되고 있다. 시는 2032년까지 약 4500실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최근 고양콘, 콜드플레이·오아시스 공연 등 대형 이벤트가 잇따르며 고양이 수도권 대표 공연도시로 부상했지만, 숙박시설 부족으로 관람객 상당수가 서울·인천으로 이동해 숙박과 소비를 해결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숙박이 없으면 체류도 없고, 체류가 없으면 소비도 없다”며 “숙박 인프라 확충은 도시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S2부지 매각은 정치적 선택이 아니라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필연적 결정”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매각 시기를 문제 삼지만, 시는 GTX-A 개통, 킨텍스 제3전시장 착공, 고양방송영상밸리·일산테크노밸리 조성 등 지역 성장 모멘텀이 집중된 지금이 “투자 최적기”라고 판단한다.
특혜나 헐값 매각 논란에 대해 시는 “일반입찰 방식으로 진행되며 감정평가 산술평균가 이하로는 매각이 불가능하다”며 “착공 기한, 용도 변경 제한 등 안전장치를 모두 마련했다”고 밝혔다.
고양시는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을 통해 수도권 서북부 대표 마이스(MICE) 도시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하지만 잇단 부결로 재원 확보가 지연되면서 행정 부담이 커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속적인 부결로 시의 성장 기회를 놓치고 있다”며 “정쟁이 아닌 협력의 정치로 시정의 미래를 함께 논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