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도시 모든 공간을 정원으로 만드는 ‘정원도시 광명’ 실현을 위한 5개년 계획을 본격 추진한다.
시는 2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정책브리핑을 열고 “시민 주도의 지속가능한 정원도시를 위해 2025~2029년까지 단계적 로드맵을 실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 ▲도덕산·구름산·가학산·서독산 등 4대 산 산림형 시민정원 조성 ▲어린이 키즈가든 및 놀이정원사 양성 ▲시민정원사 확대 ▲시니어 친화 정원 및 일자리 조성 ▲ESG 기반 정원도시 구축 등 6대 과제로 구성됐다.
안양천 지방정원은 광명, 안양, 군포, 의왕 4개 지자체가 협력해 추진 중이다. 광명시는 시민 참여형 정원으로 꾸며 축제·교육 공간으로 활용하고, 향후 정원박람회의 중심 무대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또한 도심 가까운 4대 산을 산림형 시민정원으로 정비해 치유·원예 공간을 조성한다. 어린이를 위한 ‘키즈가든’과 놀이정원사 양성 프로그램, 시니어 맞춤형 정원 일자리 등 세대별 특화정책도 병행한다.
광명시는 지난해 정원문화 조성 조례를 개정하고, 정원추진단을 출범시켜 시민정원사 양성을 확대해왔다. 현재까지 55명이 시민정원사로 활동 중이다.
김원곤 도시주택국장은 “정원도시 정책은 단순한 도시 미관 향상을 넘어 시민 삶의 방식과 도시 지속가능성을 변화시키는 도전”이라며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정원도시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광명시는 2026년 안양천 본격 공사, 2027년 지방정원 등록, 2028년 산림형 정원 확대를 거쳐 2029년 국가정원 지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