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일반

광명시, 소하동 화재 ‘시민대책위’ 출범…시민이 주도하는 재난 협치 모델 구축

13명 위원 구성…피해 지원·제도 개선까지 민관 공동 대응
성금 모금·자원봉사 총력…실질적 주민 회복 체계 구축
시민 2,500명 5개 분야 배치…맞춤형 재난 지원 나선다
박승원 시장 “시민이 지역의 버팀목 되는 구조 마련”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시(시장 박승원)는 지난 17일 발생한 소하동 아파트 화재와 관련해, 행정 주도가 아닌 시민 참여형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24일 ‘소하동 아파트 화재 피해 지원 시민대책위원회(이하 시민대책위)’를 공식 출범시켰다.

 

이날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발대식에는 각계 시민사회단체와 피해 주민 대표가 참여해 협력의 의지를 다졌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시민이 직접 공동체 회복을 이끄는 새로운 협치 모델이 될 것”이라며 기대를 나타냈다.

 

시민대책위는 행정의 일방적 지원에서 벗어나, 시민사회 주도의 자발적 연대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민관 협치 모델이다.

 

시정협치협의회, 시민참여커뮤니티, 자원봉사센터, 대한적십자사, 주민자치회, 피해 주민 대표 등 총 13명의 위원으로 구성됐다.

 

대책위는 실무위원회와 ▲운영지원팀 ▲시민성금팀 ▲자원봉사팀 등 3개 실무팀 체계로 나뉘어 활동한다.

 

운영지원팀은 정책 제안, 제도 개선, 갈등 조정 등의 역할을 맡으며 협치협의회 부위원장, 협치 실행위원, 시민커뮤니티 위원, 피해 주민 대표 등이 포함됐다.

 

시민성금팀은 모금 캠페인을 주도하며 성금과 기부물품의 접수, 배분 기준 마련 등 투명한 운영에 집중한다.

 

자원봉사팀은 피해 주민 지원에 실질적 인력을 투입하는 팀으로, 복구, 생활지원, 심리상담 등 분야별로 자원봉사자를 조직적으로 배치한다.

 

특히 광명시 자원봉사센터 소속 2500여 명의 봉사자가 ▲질서 유지·방범 ▲현장 복구 ▲급식 지원 ▲의류·생활용품 제공 ▲심리 상담 등 5개 분야로 나눠 활동할 계획이다.

 

이번 시민대책위는 단기적인 피해 복구를 넘어 지역의 공동체 복원을 위한 기반 마련에 초점을 맞춘다.

 

대책위는 자발적 시민 성금 캠페인을 더욱 적극적으로 확산하고, 모금된 성금을 활용해 피해 주민의 주거비, 생계비, 의료비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모든 기부금 내역은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된다.

 

또한 시민사회에서 제안된 정책과 대책을 행정에 반영해, 장기적인 재난 대응 체계의 개선까지 도모한다. 시는 시민대책위 운영 종료 후 성과와 과제를 분석해, 지속 가능한 협치 모델로 제도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대책위는 행정이 주도하던 과거의 재난 대응 방식을 넘어, 시민이 스스로 공동체의 버팀목이 되는 구조로 전환하는 계기”라며 “지방정부와 시민이 함께 만드는 협치 모델이 광명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위원장을 맡은 이광수 대한적십자사 광명시지부 회장도 “피해 주민들에게 희망을, 시민들에게 연대의 가치를 전하는 역할을 하겠다”며 시민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광명시는 앞으로 시민대책위 운영 전반에 걸쳐 실질적 지원과 제도 개선이 이뤄지도록 적극 협력하고, 시민과 함께 재난을 극복하는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회복 체계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