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처인구 백암면에서 전승돼 온 ‘백암농요’를 용인시 향토무형유산 제5호로 지정·고시했다고 12일 밝혔다.
‘백암농요’는 백암 지역에서 벼농사를 지을 때 부르던 전통 농사 소리로, 지역의 공동체 문화와 협업의 가치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예로부터 곡창지대이자 교통 요지였던 백암면의 지리적 특성이 녹아 있으며, 농경 사회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향토예술로 평가된다.
이 농요는 ▲가래질소리 ▲모찌는소리 ▲모내기소리 ▲논매기소리 등 벼농사의 전 과정을 노랫말로 구성하고 있으며, 농부들의 노동 리듬과 협동의 정신을 표현한다.
‘백암농요보존회’(회장 최오영)는 2002년 결성 이후 전승·보존 활동을 이어오며, 정기 전수교육과 공연을 통해 전통 창법을 계승하고 있다.
보존회의 꾸준한 활동으로 2019년과 2021년 경기도민속예술제에서 우수상, 2023년에는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예술적 완성도를 인정받았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백암농요’는 선조들의 삶과 공동체 정신이 깃든 소중한 문화유산”이라며 “이번 지정을 계기로 전통 농사문화의 가치가 널리 알려지고, 시민들이 향토문화의 소중함을 되새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지정으로 용인특례시는 백암농요를 비롯해 할미성대동굿, 경기향토소리, 포곡상여놀이, 사기장 등 총 5종의 향토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시는 앞으로도 전통문화 계승과 시민 문화 향유 확대를 위한 보존·활성화 정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