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시가 소하동 아파트 화재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빠른 일상 복귀를 위해 전방위 복구·회복 지원에 나섰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20일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중장년층 피해자가 많은 만큼 경제적·심리적 회복에 한계가 있다”며 “한시적 조치에 그치지 않고 전 부서가 유기적으로 협력해 촘촘하고 세심하게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이날부터 시는 ‘소하동 아파트 화재 복구·회복 지원단’을 본격 가동했다. 사고 현장 인근 소하1동 행정복지센터에 현장 사무실을 마련하고, 방문·전화·온라인 민원 접수를 병행한다.
지원단은 ▲상황총괄반 ▲복구지원반 ▲회복지원반 ▲홍보반 등 4개 반으로 구성됐으며, 각 반은 사고 수습부터 이재민 일상 회복까지 전방위적 업무를 수행한다.
복구지원반은 건물 보강 서포트와 균열 게이지, 기울기 측정 장비를 설치해 실시간 구조 안전 점검을 진행 중이다. 광명경찰서와 자율방범대, 사설 경비 등이 협력해 24시간 현장 경비도 실시하고 있다.
회복지원반은 이재민 한 세대당 전담 공무원을 1:1로 배정해 민원 응대에 나서고 있으며, 임시 대피소에서 의료·심리·생활 지원을 병행 중이다. 한방 진료, 심리상담, 세탁차량 등도 배치됐다.
시는 안전주택 제공과 함께 호텔 등 민간 숙소 이용 시 숙박비도 일정 기간 지원할 방침이다. 시민생활안전보험금, 의료비, 장례비 지원, 세제 혜택, 세금 유예 등도 추진한다.
또한 사고 피해자 병원 치료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관내 10개 의료기관에 전담 공무원을 지정했다.
홍보반은 시청 누리집과 보도자료를 통해 시민에게 수습 현황과 안전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고 있다.
시는 향후 시민 모금운동과 지역기반단체 참여를 통한 ‘시민대책위원회’ 구성도 추진 중이다.
20일 오후 1시 기준 대피소에는 23세대 62명이 머무르고 있으며, 피해자는 사망 3명, 중상 16명, 경상 46명(입원 18명·귀가 28명) 등 총 65명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