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수원특례시는 19일 시청 상황실에서 환경정책위원회 정기회의를 열고 도시 생태계 회복과 기후위기 대응, 자원순환 전환 등을 담은 ‘2040 환경계획(안)’을 심의했다.
이번 계획은 2040년을 목표로 9개 환경 분야별 중·장기 지표와 실행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 환경 전략이다.
시는 우선 생태축 확립을 위해 비오톱 평가를 기반으로 도시 생태 구조를 재편하고, 광교산 산림욕장·일월수목원·영흥수목원 등을 포함한 6개 장소를 OECM(기타 효과적 지역기반 보전수단) candidate로 선정해 보전 구역으로의 관리 강화를 검토하고 있다.
기후·에너지 분야에서는 도시방재·자연재해 대응을 단기 과제로 두고, 중장기적으로는 에너지 전환 확대와 탄소배출 저감 정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탄소중립포인트제 활성화 등이 대표 과제로 제시됐다.
대기·물환경 부문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체계 고도화, 친환경 이동수단 확충, 물순환 기반시설 개선 등이 포함됐다.
자원순환 분야는 생활 속 쓰레기 감량을 중심으로 일회용품 사용 제한 확대, 재활용 체계 개편 등 실천 정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회의에 앞서 시는 제7기 환경정책위원회 위원 18명을 위촉했다.
위원회는 김현수 수원시 제1부시장을 위원장으로 시의원, 교수, 연구기관, 시민단체 등 환경 분야 전문가로 구성되며, 수원시 환경계획과 주요 환경정책을 심의·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김현수 제1부시장은 “2040 환경계획은 도시기본계획과 연계해 수원의 공간환경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담고 있다”며 “환경보전과 지속가능발전을 이끄는 실천 계획이 되도록 추진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