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기존 ‘돌봄통합추진위원회’를 법정 협의체로 전환하며, 시민 누구나 돌봄의 권리를 보장받는 통합 돌봄체계 구축에 나섰다.
시는 22일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광명시 통합지원협의체 위촉식 및 회의’를 열고, 지난 10월 2일 공포된 ‘광명시 돌봄 통합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기존 추진위원회를 법정 협의체로 공식 출범시켰다.
이번 조치는 2026년 3월 시행 예정인 ‘돌봄통합지원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의료·요양·돌봄·주거 등 지역 내 모든 돌봄 자원을 하나로 연계하는 ‘광명형 돌봄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행정 중심의 돌봄체계를 시민 중심 협력체계로 확장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살던 곳에서 돌봄이 이어지고, 누구나 필요한 순간 지원받을 수 있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통합지원협의체는 박승원 광명시장을 위원장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광명지사장, 광명시사회복지협의회장, 지역 의료·요양·복지기관 대표, 시민대표 등 18명으로 구성됐다. 협의체는 민·관이 함께 참여해 지역 돌봄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실행계획을 자문하는 핵심 기구로 운영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보건복지부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추진 현황 ▲통합지원협의체 전환 경과 보고 ▲퇴원환자 연계 및 방문의료 지원체계 구축 ▲복지·주거 서비스 통합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
광명시는 보건복지부의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기술지원형)’ 지자체로 선정된 이후 퇴원환자 연계관리, 방문의료 서비스 신설, 지역 의료 협력망 구축, 맞춤형 복지·식사·주거 지원 통합연계 등 다양한 성과를 거뒀다.
또한 9월에는 3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돌봄통합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해 현장 인력 체계를 강화했으며, 앞으로 협의체를 중심으로 방문의료·재가돌봄·주거복지 등 분야별 기관 협력을 확대해 ‘광명형 돌봄통합 도시’ 실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