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가 도내 버스업계의 경영난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오는 10월 25일 첫차부터 시내버스 요금을 조정한다. 이번 인상은 2019년 9월 이후 6년 만이다.
도는 일반형·좌석형 시내버스 요금을 각각 200원, 직행좌석형·경기순환형 버스 요금을 각각 400원 인상하기로 했다. 다만 ‘The 경기패스’와 교통비 지원사업을 통해 도민의 부담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The 경기패스’는 19세 이상 도민에게 월 이용금액의 20~53%를 환급하는 제도로, 2025년 7월부터 월 61회 이상 이용 시 전액 환급 혜택이 추가됐다.
예를 들어 광역버스를 월 40회 이용하는 30대 직장인은 인상 후에도 교통비 환급을 통해 실제 부담이 약 2만 원 감소한다.
경기도는 물가 상승과 운수종사자 인건비, 유류비 증가 등 불가피한 요인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서울과 인천이 이미 요금을 인상했음에도, 도는 그동안 도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6년간 동결을 유지해왔다.
도는 단순한 요금 인상에 그치지 않고 서비스 품질 개선을 병행한다.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통해 무정차·불친절·난폭운전·배차간격 위반 등 4대 민원을 근절하고, 암행단속과 친절기사 인증제, 서비스 평가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도 지속 확대한다.
6~18세 도민에게 연 24만 원 한도 내에서 교통비를 100% 환급하며, 내년 10월부터는 지역화폐 앱 내 교통비 쿠폰 형태로 지급할 계획이다.
김광덕 교통국장은 “대중교통의 핵심인 시내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요금 인상에 따른 도민 부담을 최소화하고 서비스 품질을 높여 체감 만족도를 향상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