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10일 오전 광명시청 대회의실. 박승원 광명시장의 민선8기 3주년 기자간담회가 시작되기 직전이었다. 회견장을 가득 채운 취재진 사이 일부에서 불편한 기류가 감돌았다. “목소리가 너무 울린다”, “뒷자리는 잘 안 들린다.” 단순한 소음 문제가 아니었다. 시정의 메시지를 가장 먼저 듣고 전달해야 할 언론이, 정작 시장의 말조차 온전히 듣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이에 한 기자가 조심스럽게 요청했다. “에코(울림)가 심합니다. 조정이 가능할까요?” 소박하지만 꼭 필요한 제안이었다. 그러나 돌아온 대답은 당혹스러웠다. “동굴 목소리라 그렇다.” 다시 요청하자, 언론홍보팀장은 표정을 굳히며 말했다. “우리가 알아서 하겠습니다.”
홍보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 홍보는 태도다. 언론홍보팀은 메시지를 선별하는 권력이 아니라, 시민과 행정을 잇는 투명한 다리여야 한다. 하지만 이날 팀장의 태도는 조정이 아니라 단절이었고, 해명이 아니라 오만이었다.
행정의 귀가 닫히는 순간은 언제나 사소한 데서부터 시작된다. 마이크의 울림을 지적한 것은 기자 개인의 청취 편의를 위한 게 아니었다. 기자가 듣지 못하면, 시민도 들을 수 없다. 기자의 청취는 곧 시민의 청취다.
더 큰 문제는 그 이후였다. 일부 유력 언론사에겐 먼저 다가가 인사를 나누는 반면, 지역 인터넷 언론에겐 눈길조차 주지 않는 이중적 태도. 홍보비를 매개로 선을 긋는다면, 그것은 정보의 유통이 아니라 권한의 배분이다. 이는 시민을 위한 설명이 아니라, 권력을 위한 취사선택이다.
홍보비는 광고비이지 통제비가 아니다. 언론홍보는 충성의 도구가 아니라, 시민을 향한 해설의 책임이다. 특정 언론에만 문을 열고, 다른 언론엔 벽을 세운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에게 돌아간다.
광명시는 ‘광명3.0 시민주권시대’를 선언했다. 방향은 옳다. 그러나 시민주권은 말이 아니라 태도로 입증된다. 기자의 질문을 차단하고, 언론을 구분하며, 시민의 알 권리를 관리하려는 태도는 어떤 정책 선언보다 무겁게 기록된다.
정색한 한마디 속에서 언론은 소외됐고, 시민의 귀는 닫혔다. 소통 없는 정책은 공허하고, 태도 없는 철학은 가볍다.
홍보는 권력이 아니다. 홍보는 시민과 행정을 잇는 다리를 놓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