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미국의 관세 조치가 내달 1일까지 유예 연장된 가운데, 경기도가 도내 수출 중소기업의 통상 리스크 대응을 위해 104억 원의 추경 예산을 편성해 선제 대응에 나섰다.
도는 9일 “2025년 하반기 수출여건 악화에 대응하고,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종합 지원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대상은 미국 관세정책의 영향권에 있는 반도체, 자동차, 철강, 의약품 등 공급망 기반 산업 중심이다.
도는 우선 76억 원을 ‘관세 리스크 대응’에 투입한다.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으로 9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출컨설팅, 해외규격 인증, 전시회 참가, 물류비 등을 지원한다. 미국·중국 등 고위험국에 통상환경조사단을 파견하고, 비관세장벽 해소도 병행할 예정이다.
또한 수출시장을 신흥시장 중심으로 다변화하기 위해 19억 원을 배정해, 일본·중동 등 지역 유통망 진출 및 통상촉진단 운영, G-FAIR KOREA 바이어 초청 확대 등 실질적인 판로 확대에 나선다.
이외에도 도는 9억 원 규모의 해외규격인증 및 물류비 지원을 통해 비관세장벽을 넘는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고, 8월에는 미국 댈러스에 새로운 경기비즈니스센터(GBC)를 열고 호주·대만에도 신규 거점을 추가할 계획이다.
박근균 국제협력국장은 “2025년 하반기는 글로벌 통상질서 전환의 분기점”이라며 “도내 수출기업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