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최근 3년간(2022~2024년) 도내 공동주택 화재 3621건을 분석한 결과, 여름철 화재가 가장 많고, 계절용기기 중에서는 에어컨 화재가 가장 많았다고 23일 밝혔다.
전체 화재 중 공동주택 화재는 55%를 차지했다. 이 중 68%(2454건)가 주방기기, 계절용기기, 배선기구 등 전기기기에서 비롯됐다.
특히 계절용기기 화재 579건 중 에어컨 관련이 192건(33.2%)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전기장판·담요류(121건), 열선(80건) 순이었다.
화재 원인은 부주의가 44%(1,609건), 전기적 요인이 37%(1337건)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여름철 화재가 1020건(28%)으로 가장 많았다. 에어컨 화재의 85%인 163건도 이 시기에 집중됐다.
시간대별로는 새벽 시간대 화재의 인명피해가 가장 컸다. 화재 1000건당 평균 2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아파트 화재 사망자 23명 중 87%(20명)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건물에서 나왔다.
경기소방은 이를 바탕으로 소방시설 미설치 주택에 대한 집중 점검, 공동주택 관리자 대상 안전교육, 새벽 화재 초동대응 훈련 등 대응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김재병 본부장은 “에어컨 등 일상 전기제품이 방심할수록 위험하다”며 “도민 스스로 여름철 전 실외기 점검 등 예방 조치를 생활화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