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4대 전략을 중심으로 수출기업 지원에 나선다.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우선 무역정책을 내세우며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계획인 가운데, 김 지사는 이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수출 방파제를 구축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연 지사는 1월 3일 자신의 SNS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시작을 언급하며 ‘트럼프 2기 비상 대응체제’를 즉시 가동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경제전권대사의 임명, 수출방파제 구축, 신속한 추경 편성 등 3가지를 정부와 정치권에 촉구했다.
‘경제전권대사’는 김 지사가 트럼프 행정부와의 공식 파트너로 임명할 것을 제안한 인물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이를 지지하며 빠른 진행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12일 경기도의회 도정연설에서 "트럼프 쇼크 위기를 수출 중소기업의 기회로 만들겠다"며, 타마라 모휘니 주한 캐나다 대사와 조셉 윤 주한 미국 대사대리 등을 만나 대미 대응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또한 20일에는 도내 수출기업과 현장 간담회를 갖고 경기도의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경기도는 4대 전략으로 수출기업을 지원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 전략은 ▲통상환경 리스크 긴급대응 ▲수출시장 다변화 ▲수출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위기대응 종합 컨설팅 강화 등으로 구성된다.
통상환경 리스크 긴급 대응에서는 급변하는 무역정책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강화된 관세가 주요 수출품목인 자동차, 반도체, 바이오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미 통상환경조사단을 3월 파견할 예정이다.
조사단은 현지 시장 공략 강화를 위한 활동을 펼치며, 국내 기업들의 전략적 파트너와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환변동에 따른 손실을 보전하는 환변동 보험을 지원해 기업들의 금융 부담을 줄여준다.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전략으로는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신흥국 시장을 타겟으로 새로운 수출 네트워크를 확장한다.
경기도는 경기비즈니스센터를 25개로 늘리고, 캐나다 밴쿠버, 두바이, 독일 프랑크푸르트 등 해외 주요 거점에 중소기업 수출지원 플랫폼을 구축해 해외 판로 확대를 지원한다.
또한, 새로운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에 대비해 중동지역 등에서 수출상담회를 개최한다.
수출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은 탄소배출량 산정과 같은 환경 규제에 대비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이다.
유럽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와 미국의 탄소세 도입에 대응하기 위해 철강과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에 대한 컨설팅과 교육을 진행하며, 350개 기업을 대상으로 탄소세 규제 동향을 제공하고, 탄소배출량 산정 교육도 지원한다.
위기대응 종합 컨설팅 강화는 ‘수출 애로 통합지원센터’를 통해 피해사례를 접수하고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경기도는 24시간 신속상담 체계를 구축하고, 수출 기업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김동연 지사는 "무역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경기도가 수출기업을 돕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며, “현장에서 신속하고 과감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이러한 대응 전략을 통해 수출기업들이 위기 속에서도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