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안양천을 10여 년간 지켜온 시민단체들의 모니터링 성과가 한자리에 모였다.
안양시공익활동지원센터는 25일 ‘안양천와글와글네트워크 보고회’를 열고 시민 관찰 기록을 정책 기반으로 확장하기 위한 민관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모임은 센터가 추진하는 ‘공익네트워크생기발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안양천을 장기간 관찰해온 지역 단체와 안양시 환경·하천 관련 부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네트워크에는 안양YWCA, 안양군포의왕환경운동연합, 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등 기존 활동 단체에 더해 경기환경보전운동연합총본부가 새롭게 합류했다.
단체들은 수년간 안양천 구간을 순회하며 왜가리·중대백로 등 지표종 이동과 서식 변화를 기록해왔다. 일부 구간에서는 수달 흔적이 확인돼 생태 회복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올해는 환삼덩굴·단풍잎돼지풀 등 생태계 교란식물을 집중 제거하는 활동을 이어가 주민 참여도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1부 발표에서 연구협동조합 유랑 서경옥 대표는 시민단체가 개별적으로 축적한 자료를 표준화해 분석하면 “안양천 생태 변화의 장기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민 관찰은 전문가 조사에서 놓칠 수 있는 작은 변화를 포착한다”며 정책 참고자료로서의 가치를 언급했다.
이어진 2부에서는 각 단체가 올해 활동을 소개했다.
청소년 대상 생태교육, 시민 참여 모니터링, 하천 정화, 철새 이동 관찰 등 다양한 활동이 공유됐다.
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올해 10차례 실시한 교란식물 제거 활동을 소개하며 “성공을 위해선 반복과 지속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단체들은 데이터 활용 부족, 구간별 관리 주체 불명확성 등 현장의 어려움도 제기하며 “시민 기록이 행정정책과 연결되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시 관계자들은 시민사회의 관찰 역량을 인정하며 장기적으로 민관협치 기반의 하천관리 모델 개발 필요성에 공감했다.
안양천은 시민의 휴식 공간이자 지역 생태의 핵심축으로, 보고회는 장기 시민기록을 공식 네트워크로 확장하는 출발점이 됐다. 센터는 향후 더 많은 단체가 참여하는 ‘안양천 시민생태네트워크’ 구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