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의 대표 돌봄 사업인 ‘누구나 돌봄’이 시행 20개월 만에 누적 이용자 2만5천 명을 넘어섰다. 도는 방문의료서비스와 전용 플랫폼을 정식 도입해 정책을 강화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2024년 1월 위기 상황에 놓인 도민에게 가사, 주거 안전, 식사 지원 등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누구나 돌봄’을 시작했다. 사업은 첫해 15개 시군에서 올해 29개 시군으로 확대됐다.
올해 8월 말 기준 누적 이용자는 2만5546명이다. 이 중 올해 1~8월 이용자는 1만551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413명보다 187% 늘었다. 서비스 제공기관은 464곳으로 늘어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됐다.
‘누구나 돌봄’은 생활·동행·주거안전·식사지원·일시보호서비스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재활돌봄·심리상담은 시군 선택형으로 운영한다.
재난 등 위기 상황에서는 주거·생활·심리 지원을 무상으로 제공하며, 신청 절차도 간소화했다.
도는 지난 8월부터 12개 시군에서 방문의료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수원, 화성, 남양주, 시흥 등 40개 의료기관이 참여해 거동이 불편한 도민을 직접 찾아가 진료한다. 현재 12개 시군에서 내년 16개 시군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지난 6월부터는 고양시 등 17개 시군에서 ‘누구나 돌봄 플랫폼’을 시범 운영 중이다.
온라인 회원가입 한 번으로 서비스 신청부터 매칭, 사후관리까지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오는 10월부터는 도 전역으로 확대해 정식 운영에 들어간다.
김해련 복지정책과장은 “누구나 돌봄이 경기도형 통합돌봄 모델로 자리 잡았다”며 “방문의료 연계와 ICT 기반 플랫폼을 통해 더욱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