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는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선감학원 공동묘역에서 실시한 유해발굴조사를 통해 총 155기 중 67기 분묘에서 치아·골편 등 유해 537점을 수습했다고 30일 밝혔다. 유해는 대부분 10대 아동으로 추정된다.
발굴조사는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경기도가 주도해 추진했다. 당초 행정안전부가 발굴을 주관할 예정이었으나 무산됨에 따라, 도가 대신 진행했다.
도는 지난해 4~7월 장사법에 따른 분묘 일제 조사 및 개장공고를 마친 뒤, 8월 개토행사를 열고 본격적인 발굴을 시작했다.
대상 지역은 선감동 산37-1번지 내 2400㎡ 규모로, 조사 결과 133기는 분묘로, 21기는 흙무덤이나 이장된 흔적으로 확인됐다. 1기는 매장유산 발견으로 조사 중지됐다.
133기 중 유해가 출토된 분묘는 67기였으며, 치아·대퇴골·상완골 등 총 537점의 유해와 함께 못, 단추 등 유물·유품 573점도 함께 수습됐다. 유해가 확인되지 않은 나머지 66기 분묘는 토양 산성화와 부식 등으로 유해가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발굴된 유해는 전문 감식을 통해 사망 시점 추정 연령이 30세 이하인 경우 화장 후 선감동 공설묘지에 안치될 예정이다.
경기도는 이날 선감학원사건 피해자 및 지역 주민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장설명회를 열고 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최현정 인권담당관은 “국가에 의해 희생된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끝까지 책임 있게 절차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선감학원 사건은 1942년부터 1982년까지 국가가 부랑아 수용 명목으로 운영한 선감학원에서 4700여 명의 아동이 강제노역과 폭행, 암매장 등 인권침해를 당한 사건이다. 진실화해위원회는 2022년 이 사건을 ‘공권력에 의한 아동 인권침해’로 판단하고, 국가와 경기도에 유해발굴 및 피해자 지원대책을 권고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