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는 ‘2025년 제1회 경기도 지적재조사위원회’를 열고 75개 대상지구 중 30개 지구(6038필지, 4.2㎢)를 지적재조사 사업지구로 지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지적재조사사업은 일제강점기 종이 지적을 최신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고, 경계를 명확히 해 이웃 간 분쟁을 줄이는 사업이다. 맹지 문제 해소를 통해 도민 재산권을 강화하고 토지 활용 가치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번에 지정된 30개 지구 외 나머지 45개 지구는 수원시 등 대도시 지적재조사위원회(24개 지구) 및 경기도위원회(21개 지구) 심의를 거쳐 오는 8월까지 모두 지정 완료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소규모 사업지구(200필지 미만)를 중심으로 한국국토정보공사를 책임수행기관으로 지정해 사업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체 대상 2004개 지구 중 40%(780개 지구)에서 사업이 착수 또는 완료됐다.
도는 ‘경기도형 책임수행기관 제도’를 통해 민간대행자와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드론 영상 제공 등 주민 이해를 돕는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손임성 도시주택실장은 “마을안길 조성 등 개발사업과 협업해 지적재조사의 체감도를 높이겠다”며 “조속한 사업 완료를 위해 국고보조금 확보에도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