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가 여야 이견을 최소화하고 초당적 협력으로 내년도 예산안을 크게 증액하며 심의를 마무리했다.
위원회는 26일 2026년 본예산과 2025년 3회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도가 제출한 원안보다 874억 원을 늘려 총 6576억7500만 원을 의결했다. 감액은 44억 원이며 순증은 829억 원이다.
이번 심사는 재정 압박 속에서도 문화·예술·체육·관광 분야의 도민 체감 사업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여야가 협치를 선택했다는 평가다.
의원들은 예산소위원회를 중심으로 사업 타당성을 상호 검토했고, 쟁점 사업은 소그룹 협의 테이블을 별도로 구성해 대안을 조율했다. 필요 시 집행부와 실무조정 회의를 반복하며 이견을 좁히는 과정도 병행됐다.
위원회는 지난해에 이어 소관 실·국과 산하 공공기관, 보조사업자가 모두 참석하는 공개 심사 방식도 유지했다.
예산소위 회의장을 언론에 개방하고 총 488개 사업의 필요성을 직접 검증하는 절차를 거쳐 “투명한 심사 체계”를 구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증액된 주요 사업은 △유휴공간 문화재생 5억 원 △장애인 생활체육 인프라 확충 19억 원 △책 생태계 활성화 12억 원 △관광객 편의 증진 3억 원 등이다.
위원회는 “도민 일상 회복과 체감 성과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춰 구조를 재정비했다”고 설명했다.
황대호 위원장은 “정쟁보다 우선하는 것은 도민의 삶이며 예산은 삶을 바꾸는 실질적 수단”이라며 “이번 결정은 여야가 ‘도민 우선’이라는 한 기준을 공유해 협력으로 이끌어낸 결과로 지방의회 협치의 모범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에도 사업이 도민에게 제대로 전달되는지 꼼꼼히 점검하고 지원 역할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제11대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는 황 위원장을 포함해 14명의 의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정책 전문성과 협치를 기반으로 경기도 문화정책의 중장기 방향을 계속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