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정책 수립 과정에 지방정부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위기 대응·에너지전환 지방정부협의회장인 이재준 시장은 24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국가-지방 협력 기후위기 대응 정책 토론회’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이재준 시장은 “국가계획 수립 시 지방정부 의견이 반영되지 않으면 정책의 현실성과 이행 가능성이 떨어진다”며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 지방정부를 정식 구성원으로 포함할 것을 건의했다. 해당 위원회는 국가 탄소중립 정책과 이행 상황을 심의·점검하는 민관 합동 기구다.
아울러 지역의 탄소중립 우수사례 확산을 위한 ‘탄소중립 정책 박람회’ 개최도 제안했다.
이재준 시장은 “수원시의 ‘우리집 탄소모니터링’처럼 지방정부가 발굴한 정책은 전국 확산에 한계가 있다”며 “국가 차원의 포상과 지원이 병행되면 성공 정책이 신속히 전국으로 퍼질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회는 우원식 국회의장 영상 축사, 공동선언문 전달, 패널 토론 등으로 진행됐다.
이재준 시장은 위성곤 국회 기후위기특위 위원장에게 ‘Vision 2035 대한민국 지방정부 공동선언문’을 전달했다.
선언문에는 지역 맞춤형 전환 전략 수립, 정의로운 전환, 기후 복지 확대, 기후 분권 강화 등 5대 실천 방향이 담겼다.
정책토론에서는 지방정부 단체장과 전문가들이 참여해 국가-지방 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기후 대응의 실행력 확보를 위해 지방정부의 역할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수원시 관계자는 “기후위기 대응은 중앙·지방이 함께 움직여야 한다”며 “지방정부가 실행력을 책임지고 국가가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구조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