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시가 사회재난 대응의 핵심 기준을 시민과 함께 만드는 절차에 공식 착수했다.
시는 2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민 80여 명이 참여한 ‘사회재난 극복 시민참여 방안 공론장’을 열고 재난 대응 기준 마련을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공론장은 소하동 아파트 화재 당시 시민대책위원회가 제안한 ‘사회재난 회복 시민참여 매뉴얼’ 제작 과정의 첫 단계로, 시민이 학습·토론·합의를 통해 직접 기준을 설계하는 참여형 숙의 방식으로 운영됐다.
행사는 ▲시민대책위원회 활동 보고 ▲사전 설문조사 결과 발표 ▲원탁토론 순으로 이어졌으며, 토론에서는 사회재난의 개념과 범위, 시민과 행정의 역할, 실행 가능한 실천 과제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원탁토론 과정에서 시민 경험과 현장 의견도 폭넓게 반영됐다.
참여 시민들은 재난 대응 과정에서 시민 참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현실적인 실행 방안과 공동 대응 체계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박민선 시민참여 커뮤니티 위원은 “실제 경험을 공유하며 필요한 기준을 함께 고민할 수 있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사회재난 대응 기준을 시민과 함께 만드는 첫 협치 모델”이라며 “이번 논의가 매뉴얼 초안 작성의 토대가 되고, 지역 문제를 지역 구성원이 함께 해결하는 구조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광명시는 이날 공론장에서 도출된 의견을 기반으로 오는 12월 TF팀을 꾸려 ‘사회재난 극복 시민참여 매뉴얼’ 초안을 마련하고, 향후 재난 발생 시 시민이 회복 과정에 참여하는 체계를 제도화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