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20일 열린 과밀억제권역 자치단체 공동대응협의회 정기회의에서 “앞으로의 공동대응 전략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함께 발전하는 상생 구조를 만드는 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준 시장은 이날 수원컨벤션센터에서 대표회장 자격으로 회의를 주재하며 수원시가 봉화군과 협력해 운영 중인 청량산 수원캠핑장을 사례로 들었다.
그러면서 “수도권의 성장이 비수도권 지역의 활력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모델”이라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연계 발전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정부의 5극 3특 구상에 수도권이 포함된 점을 언급하며 “수도권이 경제 수도로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회의에서는 고양연구원이 수행한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규제 완화 방안 연구 결과가 발표됐으며, 수원–봉화 상생 모델을 비롯한 도농 간 생활 인프라 협력 사례, 협의회 운영성과 및 내년도 추진 계획도 공유됐다. 회의에는 수원시를 포함한 과밀억제권역 9개 지방정부 시장·부시장들이 참석했다.
과밀억제권역은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지정되며, 12개 도시가 2023년 11월 공동대응협의회를 구성했다.
지난해 7월에는 규제 완화 논의를 위해 12개 도시 시장·국회의원이 참여한 규제완화 TF위원회가 출범했고, 이재준 시장과 이동환 고양시장, 염태영 의원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