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가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를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운영하며 대설·한파에 대한 선제 대응에 들어간다.
최근 기후위기로 이례적 폭설과 극한 한파가 반복되는 점을 고려해 올해는 ‘과잉 대응’을 원칙으로 대응체계를 강화했다.
도는 ‘2025~2026년 겨울철 자연재난 종합대책’을 마련해 현장 중심 대응력 강화, 제설역량 확대, 통제·대피 체계 정비, 취약계층 보호를 중점 추진한다.
우선 기상 특보 수준에 관계없이 비상대비 단계를 추가해 조기 대응을 가능하게 했다. 시군 비상1단계 발령 시에는 약 3400명의 시군 공무원이 읍·면·동 현장에 투입돼 제설·대피 조치를 지원한다.
제설 준비도 크게 강화했다. 올해 도는 시군에 도로 열선 설치비와 대설 예방시설 등을 포함한 177억 원을 지원했다.
제설제는 전년 대비 43% 늘어난 21만4천 톤, 제설 장비는 39% 증가한 8800여 대를 확보했다. 폭설 집중 시 즉각 투입할 수 있도록 1만 톤 규모의 비축 제설제도 운영 중이다.
적설 취약 구조물 18종에 대한 사전 점검, CCTV 18만여 대를 활용한 ‘360° 스마트 영상센터’ 실시간 모니터링도 병행해 대설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 적설량에 따라 대피 준비→권고→명령의 단계별 조치도 시행할 계획이다.
또 올해 신설된 ‘특별지원구역’ 제도를 활용해 기존 지원범위 밖의 피해 지역에도 복구비를 확대 지원하고, ‘일상회복지원금’을 통해 이례적 재난 발생 시 도민 체감 지원을 강화한다.
한파 대응도 확대됐다.
도는 한파 쉼터를 7,962곳으로 늘리고, 난방시설 점검과 도심 내 방풍막·온열의자 등 저감시설을 지난해보다 424개 늘렸다.
노숙인 순찰반은 야간 포함 매일 순찰에 나서고, 취약노인 6만7천 명을 대상으로 4600명의 전담 인력이 안전 확인을 한다. 기후보험을 통해 한랭질환 진단비 등도 지원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대설과 한파는 예측 불가능한 단계에 접어들었다”며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올해는 과잉 대응을 기본으로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