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고양특례시가 ‘일산도시재생사업 지연 책임’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사업 지연의 원인은 LH의 설계 오류와 일방적인 사업 철회 의사에 있으며, 고양시의 과실은 없다”고 반박했다.
시는 21일 김해련 시의원이 제기한 ‘일산도시재생 200억 원 손실 위기’ 주장에 대해 “고양시는 사업을 정상 추진하고 있으며, 국도비 등 재정 손실이 발생한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고양시에 따르면 행복주택 건립 주체인 LH는 지난해까지 국토교통부 및 고양시와의 협의를 통해 2026년 상반기 착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으나, 올해 9월 들어 90억 원의 손실보존을 요구하며 반영되지 않을 경우 사업을 취소하겠다고 통보했다. 시는 공공기관 간 협약을 일방적으로 철회한 LH의 행태가 무책임하다고 지적했다.
시는 또 김해련 시의원이 주장한 ‘시장 책임론’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행복주택을 상업시설로 전환하라고 요청했다는 주장은 사실무근이며, 일산역 일대의 교통 혼잡과 기반시설 한계를 고려해 사업 용도를 재검토해 달라고 제안한 것일 뿐이라는 설명이다.
사업 지연 원인으로 지적된 부분에 대해서도 고양시는 LH의 설계상 오류 때문이라고 밝혔다. LH가 철도 방음벽 기초 구조를 잘못 설계하면서 공사가 중단됐으며, 이에 따른 일정 지연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일방적인 사업 취소와 지연 문제는 협약 종료 후 LH와 논의할 사안이며, 시가 담당하는 공공건축물 사업은 2026년 착공을 목표로 정상 추진 중”이라며 “도시재생사업의 근본적 책임을 시로 돌리는 것은 부당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