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가 기후위기 심화에 따라 하천과 야영장 중심으로 인명피해 예방을 위한 재난대응 체계를 강화한다고 10일 밝혔다.
올해 7월 집중호우로 가평 등 하천과 야영장에서 피해가 발생한 것을 계기로, 도는 위험시설별 맞춤형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기존 강우량 도달 시점 방송 대신 예비특보 발표 시점부터 주기적·반복적 경보 방송을 실시하고, 취약지점 추가 예찰을 통해 골든타임 확보가 가능하도록 했다.
야영장 안전관리도 개선된다. 자동 음성발송 시스템(VMS)으로 관리인에게 기상특보를 즉시 전파하고, 관리인이 이용객에게 대피 안내를 실시하는 체계를 갖췄다.
이용객 입실 시 재난문자 수신 여부 확인과 행동요령 교육, 안내 포스터 배포도 병행한다.
중장기적으로는 관광산업법 시행규칙 개정과 하천 행동매뉴얼 마련 등 제도적 개선을 추진한다.
내년에는 재난예·경보시설을 올해 169개에서 350개로 확대하고, 침수 위험 하천 27개소에 CCTV를 설치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도 관계자는 “위험기상 시 도민 참여 기반의 안전문화 확산이 필요하다”며 “신속·반복·강화 체계로 자발적 대피 골든타임을 확보해 도민 안전을 지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