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민 92.5%가 60세 이후에도 계속 근로가 가능한 계속고용제도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지난 6월 28일 도내 만 25~59세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정년연장 등 계속고용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8일 경기도일자리재단에 따르면 조사 결과, 정년연장 기대효과는 ‘고령 근로자 생활 안정(64.0%)’, ‘사회적 부양비용 감소(42.6%)’, ‘연금 재정 개선(35.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청년층 신규채용 감소(47.6%)’, ‘대기업·공공기관 혜택 집중(35.2%)’, ‘기업 인건비 부담 증가(26.3%)’ 등 우려도 존재했다.
연령대별로 세대 간 인식 차이가 뚜렷했다. 20·30대는 재고용 선호가 높았고, 40·50대는 정년연장을 통해 직장 내 안정적 고용과 숙련 노하우 전수를 더 중요시했다. 재고용 시 선정 기준으로는 ‘직무수행능력(71.1%)’과 ‘건강상태(36.9%)’가 꼽혔다.
현재 40대의 51.8%, 50대의 66.1%는 정년 이후에도 계속 근로할 의향이 있으며, 희망 근로 연령 평균은 67.74세로 조사됐다.
김윤중 경기도일자리재단 연구위원은 “청년층 신규 채용 감소와 중고령 근로자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