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가 26일 오후 3시를 기해 폭염 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재대본) 비상 단계를 2단계로 격상하고, 도내 폭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총력 대응에 돌입했다.
이번 격상은 도내 다수 지역에서 체감온도 39도를 웃도는 극심한 폭염이 이어지고 있고, 온열질환자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25일 하루 동안 경기도 내에서 온열질환자가 28명 발생해 누적 환자 수는 469명에 이르렀다. 이는 지난해 같은 날의 170명 대비 176% 증가한 수치다.
특히 하루 기준 온열질환자 수도 지난해 20명에서 올해 28명으로 40% 증가해, 폭염이 실제 인명피해로 이어지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앞서 도는 지난 25일 재대본 비상 1단계를 가동한 바 있으며, 이번 2단계 격상은 7월 9일 이후 두 번째다. 당시 도는 118년 만에 7월 최고기온을 기록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도내 31개 시군에 폭염 대응 강화와 피해 최소화를 위한 특별 지시사항을 긴급 전달했다.
김 지사는 ▲부단체장 중심의 대응체계 확립 ▲생활지원사·지역자율방재단 등 가용 인력 총동원 ▲옥외근로자·농촌근로자·독거노인 등 3대 취약계층 보호활동 강화 ▲무더위 쉼터 운영 철저 ▲재난문자·마을방송·전광판을 통한 폭염 행동요령 홍보 강화를 시군에 지시했다.
특히 김 지사는 “폭염에 취약한 분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현장 중심의 선제적 대응을 강화해달라”며 “도민들도 오후 2시부터 5시 사이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무더위 쉼터 등 안전 공간에서 휴식을 취해주시길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현재 가평·포천 등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위한 통합지원본부도 운영 중인 가운데, 연일 계속되는 폭염까지 겹치면서 이중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도는 향후 폭염 피해 추이와 기상 상황을 분석해 대응 단계를 추가 조정할 계획이며, 온열질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냉방시설 점검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