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흥동 데이터센터 절대 불가”…주민들 결사항전

  • 등록 2025.05.21 08:26:18
크게보기

5천명 서명·200명 거리행진으로 반대 표시
'전자파·폭발·열섬' 등 9대 위험 요소 경고
분당선 연장 무산 우려에 시민들 강력 반발
“편법 허가 중단하고 시민 안전 먼저 지켜라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용인시 기흥동 초대형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에 주민들이 집단 반대에 나섰다.

 

기흥동·고매동·공세동·보라동 주민들로 구성된 ‘기흥동 데이터센터 건립 반대 범대책위원회’는 20일 용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민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고압선 전자파,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위험, 미세먼지 발생 등 데이터센터의 각종 위해 요소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대책위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사업자는 2024년 7월 개발행위허가를 접수했다. 현재 관련 부서와 협의 중이다. 한국전력은 건축허가서 제출을 조건으로 10만kW 규모의 전력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이후 사업주는 주민 설명회를 두 차례 열었으나 주민들의 반발로 파행됐다. 주민들은 지난 3월 약 5천 명의 반대 서명을 받아 용인시에 제출했다. 4월에는 200여 명이 참여한 가두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대책위는 데이터센터 건립의 핵심 문제로 ▲전자파 기준 미비 ▲열섬현상 및 농작물 피해 ▲화재·폭발 가능성 ▲디젤 비상발전기의 미세먼지 유발 ▲소음·진동 ▲주변 경관 저해 ▲분당선 연장 무산 우려 등을 들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 설치 규모가 20만 셀 이상, 비상 발전용 경유 저장량이 60만 리터에 이를 것으로 예상돼 화재 위험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또한 “한국의 전자파 노출 기준은 833mG로, 이탈리아·스위스·스웨덴(4~10mG)에 비해 최대 200배 이상 느슨하다”며 “주변에 어린이와 노약자가 많은 지역에 고압선을 들여오는 것은 사실상 건강권 침해”라고 비판했다.

 

기흥동 데이터센터가 막대한 전력을 소모하는 점은 장기적으로 도시 인프라 계획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책위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는 분당선 연장선의 경제성과 안정적 전력 공급 기반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이는 용인 시민의 숙원 사업을 무산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자동화 설비 중심의 데이터센터는 고용창출 효과가 제한적이고,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취지에도 정면으로 반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주민들은 “중앙정부가 수도권 내 신규 데이터센터를 제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허가를 ‘변경’ 방식으로 활용해 편법적으로 추진 중인 것으로 보인다”며 “이로 인해 주변 토지는 위험시설 밀집지역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용인시는 시민 안전과 지역 발전을 위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며 “데이터센터 건립을 명확히 불허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자회견 말미 주민들은 “분당선 연장 무산된다, 데이터센터 물러가라”, “전자파 유발 시설 반대한다”, “전기세 폭탄 유발하는 데이터센터 결사 반대”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종성 기자 l680502lee@hanmail.net
Copyright @데일리엔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데일리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구운로45번길 46(구운동), 101호 등록번호 : 경기,아51594 | 등록일 : 2017년 7월 25일 | 발행인 : 이종성 | 편집인 : 이종성 | 전화번호 : 010-6586-0119 ㅣ e-mail l680502lee@hanmail.net Copyright @데일리엔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