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경기도 내 학교 과학실험실에서 최근 3년간 200명이 넘는 학생과 교직원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50건 이상 반복되는 사고에도 경기도교육청은 실질적인 개선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탁상 행정 ’에 머물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15일 경기도의회 김호겸 의원(국민의힘, 수원5)이 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도내 과학실험실 사고는 총 172건, 인명피해는 202명에 달한다. 이 중에는 중상자 2명과 전기 감전 사고 2건도 포함돼 안전관리의 심각한 허점을 드러냈다.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한 교육지원청은 화성·오산(24건, 30명)으로, 전체의 17.4%를 차지했다. 수원(15건), 용인(14건), 평택(6건, 20명), 안산(6건, 17명) 등 주요 도시도 사고 빈도가 높았다.
반면, 가평·안양·과천교육지원청은 단 한 건의 사고도 없었다.
김 의원은 “안전은 결국 관리의 문제”라며 “사고가 반복되는 지역은 사고 ‘제로’ 지역의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물적 피해 또한 심각하다.
3년간 실험장비 파손 등으로 발생한 피해액은 총 2억3567만 원으로, 특히 ▲성남(7850만 원), ▲포천(6221만 원), ▲구리남양주(810만 원) 등의 피해가 두드러졌다. 이 수치는 치료비나 학사일정 차질 등 간접 손실은 포함하지 않은 액수다.
김 의원은 “도교육청이 실험 중심 수업을 장려하면서도 정작 현장 안전관리는 방치하고 있다”며 “과학 교사 대상 사전 교육과 실험계획안 점검, 실험실 정기점검 시스템 등을 전면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기 감전이나 화학물질 사고처럼 인명에 직결되는 중대사고가 발생한 만큼, 교육청 차원의 ‘사고 재발 방지 매뉴얼’과 ‘책임 있는 사고조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실험실 사고는 단순 부주의가 아닌 구조적 관리 실패라는 지적이다. 현장의 경고등이 여러 차례 켜졌지만, 교육청은 뾰족한 대책 없이 통계 수집에만 머물렀다는 점에서 ‘반복되는 사고에 무기력한 경기도교육청’이라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