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광명·화성·안산·안양·시흥 등 신안산선이 통과하는 5개 지방자치단체가 신안산선 광역철도의 안전 시공을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섰다. 최근 붕괴 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과 주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국가철도공단 등 관계 기관에 제도 개선과 특별 관리를 촉구했다.
5개 지자체장은 15일 광명시청에서 ‘신안산선 안전 시공을 위한 공동 건의문’을 발표하고, ▲지자체 건설공사 점검 권한 법제화 ▲사고 현장 특별관리 ▲정밀안전진단 실시 ▲민관 전문가 참여 체계 ▲실무협의회 정례화 등 5개 항을 요구했다.
신안산선은 현재 전체 공정률 55%로, 당초 2025년 4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2026년 12월로 연기된 바 있다. 이번 붕괴 사고로 개통 일정은 추가 지연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특히 붕괴 현장이 서해선 구간과 중첩돼 있는 데다, 인근 지역 주민 불편과 민원이 장기화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광명시는 “현행 건설기술진흥법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지자체가 직접 발주하지 않은 사업에 대해선 점검이나 조사위원회 참여가 제한돼 있다”며 “해당 법령 개정을 통해 지자체가 안전관리 체계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국토부 주관의 특별점검단 구성,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공정관리 인력 확대, 최신 안전공법 도입, 전문가 자문 강화 등도 제안했다.
또한 공사 전 구간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통해 사고 재발 방지와 시민 불안을 해소할 필요성도 강조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사고는 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사안으로, 제도적 미비를 그대로 둘 수 없다”며 “국가와 지방정부가 협력해 체계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 지자체는 향후에도 신안산선 사업의 안전하고 투명한 추진을 위해 공동 대응을 이어갈 방침이다.